반응형
- 잊기 전에 기록하기
지방 | 수도권 | |
편익 | 1. 소액 투자 가능 2. 중. 단기 보유하며 수익 실현 |
1. 비교적 좋은 입지의 아파트 보유 2. 보유 및 관리 부담 적음 |
비용 | 1.지방을 앞마당으로 만들기 위한 시간, 체력 확보 필요 2. 보유 중 매도시기 체크 |
1. 투자금 규모 큼 2. 상승의 폭이 크지만 수익 실현 기간 예상하기 어려움 |
1) 수도권과 지방의 사이클이 차이가 나는 이유 : 입지의 규모, 수요 규모의 차이
1단계 | 입지 독점성 | 강남 1시간 이내 업무지구 1시간 이내 갈 수 있는 지역 |
2단계 | 전세가율 확인 | 지역 평균 전세가율 확인 |
3단계 | 내 투자금으로 가능한 지역 | 지역 평균 투자금 확인 |
4단계 | 저평가 단지 찾기 | 절대적 저평가 → 상대적 저평가 |
5단계 | 투자 단지 선택 | 내 투자금에 부합하는 단지 중 가장 좋은 단지 선택 |
2) 지방 투자법
1단계 | 인구 수 많은 곳 | 50만 명 이상의 인구 규모 |
2단계 | 전세가율 확인 | 지역 평균 전세가율 70% 이상 |
3단계 | 입주물량 확인 | 투자 시점 및 향후 2년간 입주물량 확인 |
4단계 | 저평가 단지 찾기 | 절대적 저평가 → 상재적 저평가 |
5단계 | 투자단지 선택 | 내 투자금에 부합하는 단지 중 가장 좋은 단지 선택 |
3) 목표 달성을 위해 지금 해야 할 일
5년 안에 얼마를 버는 사람이 되고 싶나요? | |||
투자목표정하기 | 앞마당 만들기 | 시세확인 | 비교평가 |
투자기한 (1년 이내) |
1~2달 1개 | 월 1회 | 5순위 시세표 |
투자 수도권 or 지방 |
투자금 + 수도권, 지방 투자 기준에 맞는 곳 |
지역별 매매, 전세, 전세율가, 투자금 규모 |
월 1회 업데이트 |
비교할 수 있는 앞마당 최소 3개 이상 |
임장/임보 | KB시계열 부동산원 부동산지인 |
네이버부동산 |
4) 나에게 맞는 수도권 투자 찾는 법
잃지 않는 투자를 하기 위해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고 가치 있는 것을 찾아 싼 값(?)에 투자한다.
2. 적용할 점
열기, 실 준, 서투기, 열중을 들으며 나의 방향성에 대해 계속 고민해 왔다.
똘똘한 한 채, 두채 보다 다주택으로 가야 하는데,
내가 가진 종잣돈으로 투자를 했을 때 - 대출 안 받고 가능한 지역이 어딜까?
가고 싶은 곳과 갈 수 있는 곳을 판단하고 싶어 이것저것 살펴보고 매달 가용금액 계산했을 때
갈 수 있는 곳은 지방 광역시나 경기권
고민에 고민을 더하고 나의 상황을 고려해
힘들지만,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으로 방향을 잡자 마음먹고
구성남, 분당, 수지는 기준이 되는 곳
광명, 안양, 평촌, 인덕원, 군포, 부천, 영통, 기흥을 앞마당으로
한 달에 1개 또는 두 달에 1개를 만들자 계획 세웠는데
내 생각에 맞는 강의를 해주셔서
역시 그동안 강의를 쓰고 익히려 했던 노력이 헛되지 않았구나
살짝 뿌듯함과 투자 코칭을 통해 한 번 더 확인받아야겠다 다짐해본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