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2025년 서울시 소상공인 산재보험료 지원사업 총정리
서울에서 사업하는 소상공인이라면, 올해 꼭 챙겨야 할 혜택!
서울특별시가 소상공인의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‘2025년 산재보험료 지원사업’을 시작했습니다.
👉 월 납부 보험료의 최대 50%를 환급받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.
지원사업 한눈에 보기
| 사업명 | 2025년 서울특별시 소상공인 산재보험료 지원사업 |
| 지원기간 | 2025.6.16 ~ 2025.12.31 |
| 지원대상 | 서울시 소재 중소기업사업주 산재보험 가입 소상공인 |
| 지원내용 | 월 납부 보험료의 30~50% 환급 |
| 지원기간 | 최대 5년 (1회 신청으로 자동 연장) |
| 예산규모 | 약 2억 7천만 원 (조기마감 가능) |
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?
기준보수 등급에 따라 월 최대 약 3만 4천 원까지 환급됩니다.
| 등급 | 월 보험료(예시) | 지원금(월) | 지원율 |
|---|---|---|---|
| 1등급 | 35,877원 | 17,939원 | 50% |
| 4등급 | 57,570원 | 28,785원 | 50% |
| 8등급 | 86,494원 | 34,597원 | 40% |
| 12등급 | 115,417원 | 34,625원 | 30% |
※ 업종별 요율에 따라 실제 지원금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신청 자격
- 서울에 사업장을 둔 소상공인
- ‘중소기업사업주 산재보험’에 가입한 사업주
- 근로자 유무와 관계없이 신청 가능
- 사업주 배우자(법률혼)도 가능
📞 산재보험 가입 문의 : 근로복지공단 1588-0075
신청 방법
온라인 신청
👉 서울시 자영업지원센터 접속 후
회원가입 → ‘산재보험료 지원사업’ 메뉴 →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업로드
오프라인 신청
서울신용보증재단 25개 지점 또는 자영업지원센터 방문
📍 주소: 서울시 마포구 마포대로 163, 7층 (공덕동)
필요 서류
- 사업신청서 및 동의서 (온라인 시 생략)
- 사업자등록증
- 통장사본
- 소상공인 확인 서류 (아래 중 택1)
-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(1개월 이내)
- 부가세 과세표준증명원(최근 3개년)
- 4대보험 가입자 명부
- 소상공인확인서 (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 발급)
꼭 알아두세요
- 예산 조기 소진 시 선착순 마감
- 공동사업자는 대표자 1인만 신청 가능
- 사업자등록번호나 대표자 변경 시 재신청 필요
- 지원기간 중 소상공인 요건 미달 시 지원 중단
문의처
- 서울신용보증재단 : 1577-6119
- 서울시 다산콜센터 : 120
- 근로복지공단 : 1588-0075
산재보험, 왜 꼭 필요할까?
소상공인은 예기치 못한 사고에도 스스로를 지켜야 합니다.
‘중소기업사업주 산재보험’은 이런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든든한 안전망이에요.
- 업무상 사고·질병·출퇴근 재해 보상
- 요양·휴업·장해·유족급여 지급
- 장례비, 직업훈련급여 지원
즉, “나 자신을 위한 보험”이며,
서울시가 그 보험료의 절반을 대신 내주는 셈입니다.
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신청 마감: 2025년 12월 31일
단,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됩니다.
✅ 서울시 자영업지원센터 바로가기
✅ 소상공인 정부지원금 더 알아보기
📚 함께 보면 좋은 글
#서울시소상공인 #산재보험료지원 #소상공인정책 #서울신용보증재단 #정부지원사업 #자영업지원센터 #근로복지공단
반응형